4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월(3월)보다 낮아졌지만 여전히 전체적으로 볼 때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미국 노동부는 4월 CPI가 전년 동월과 비교했을 때 8.3%가 상승했다고 발표합니다. 이로 인해 세계 경제와 한국 경제에 미치게 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4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상승 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원(22년 3월)대비 8.5% 상승해 1981년 12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4월에는 CPI가 8개월 만에 상승세가 둔화하면서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찍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물가상승률은 여전히 시장 전망치를 크게 넘어선 상태며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압박은 더욱 강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은 기준금리를..
화폐 가치가 하락하고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한다. 여기서 물가는 개별 상품의 가격을 평균하여 산출한 물가지수를 의미한다. 인플레이션은 물가상승 지속기간 및 상승폭, 제품의 질적 수준 향상 여부, 정부의 가격통제에 따른 암시장 가격 상승 여부와 같은 점을 고려할 때 언제 인플레이션이라고 정의할 것인가에 대해 이견이 있을 수 있다. 통상 연 4~5% 정도의 물가상승률이 관측되면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인플레이션이 예측 가능한 수준으로 적당한 경우는 경제 활동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고 한다. 생산요소에 드는 비용보다 생산물의 가격이 더 많이 오른다면 기업 입장에서 더 많은 이익을 기대 할 수 있다. 이윤을 남길 수 있는 입장에 기업은 생산을 늘리려..